원룸을 보고 다닐 때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원룸에는 1인 가구가 많이 살고 있습니다. 혼자 살다 보면 많은 일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위험에 노출될 확률도 높습니다. 꼼꼼하게 확인해서 안전한 원룸 구하는 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안전한 방을 구하기 위해서 최소한 확인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지하철에서의 도보 거리
집을 구할 때 직장과의 거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거리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손해입니다. 요즘에는 시간이 금이기 때문이죠. 비싼 월세를 주면서 직장에서 가까이 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직장에서 집과의 거리는 지하철 정거장을 기준으로 확인하면 됩니다. 그리고 지하철에서 내렸을 때 집에서 걸어가는 시간을 확인합니다. 걸어서 몇 분 정도 걸리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나중에 계약하고 나서 걸어보니 너무 멀어서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약 전에 꼭 직접 걸어서 지하철과 집과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골목과 가로등, CCTV
집까지 가는 곳이 골목인지 확인해 주세요. 골목이어도 얼마나 좁은 골목길이며 유동인구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가로등이 밝게 비추고 있는지는 저녁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골목이어도 방범용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곳이라면 범죄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요즘 세상에서 많은 일들이 벌어지다 보니 안전을 위해서 미리미리 확인해 보는 게 좋습니다. 내가 다니는 길목에 무엇이 있으며 위급할 때 요청할 곳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방 크기
비어 있는 방은 방 크기를 알 수가 없습니다. 머릿속으로 상상해 봅니다. 침대를 놓고 옷장을 놓고 책상을 놓으면 남은 공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상상해 봅니다. 대부분 원룸에는 책상과 옷장은 방에 들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침대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침대의 크기를 미리서 확인합니다. 침대를 놓고 난 방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그러면 남은 공간이 보입니다. 이렇게 확인하면 내가 원하는 방 크기가 나옵니다.
창문 방향과 채광
어른들이 가장 좋아하는 방향은 남향입니다. 남향이 햇빛이 잘 들어와서 따뜻하고 밝습니다. 서울에서 방을 구할 때 남향을 찾기가 힘듭니다. 건물이 붙어 있어서 한쪽 방향만 앞이 트여 있습니다. 나머지 삼면은 옆 건물에 가려져 있습니다. 트인 방향이 남향이면 아주 좋지만 북향인 경우가 많습니다. 채광을 중요하게 생각하면 동서남북의 방향을 보지 말고 창문 앞에 건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창문 방향이 남향이어도 앞에 건물이 있으면 채광이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북향이어도 앞이 트여 있으면 밝습니다. 어느 방향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창문을 열었을 때 앞에 건물이 없으면 괜찮습니다. 채광도 중요하지만 앞에 건물이 없으면 안전합니다. 앞에 건물이 없다는 건 앞이 도로변일 경우가 많습니다. 도로변에는 항상 방범용 CCTV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위험한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벽이 마주 보는 곳은 도둑이 들어오기 쉽습니다. 창문에 방범창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2층 이상부터는 설치되지 않은 곳이 더 많습니다. 그때는 건물을 타고 올라올 것들이 있는지 외부를 확인합니다.
공동현관과 CCTV
공동현관문이 비밀번호는 누르고 들어가는 곳인지 확인해보세요. 비밀번호 없이 그냥 들어가는 곳은 보안이 좋지 않습니다. 외부인이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비밀번호는 누르고 들어가거나 카드키로 들어가는 곳은 그보다 안전합니다. 비밀번호보다는 카드키가 제일 안전합니다. 하지만 카드키는 분실 위험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수시로 공동현관문 비밀번호를 바꿔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CCTV가 설치가 된 곳인지 확인해 주세요. CCTV가 설치된 곳에서는 범죄가 발생할 확률이 낮습니다. 건물 외부와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집주인의 거주지
원룸 건물안에 맨 위층에는 대부분 집주인이 거주합니다. 원룸을 관리하면서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부분은 장단점이 있지만 안전을 중요시하는 분이라면 집주인이 함께 건물에 거주하는 곳이 더 안전합니다. 건물 청소 상태도 훨씬 깔끔하며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기 때문입니다. 나에게 무슨 일이 발생해서 도움을 요청할 때 같은 건물에 있는 집주인이 더 빨리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나의 사생활을 간섭하는 주인이면 너무 불편합니다. 요즘에는 개인적인 사생활 간섭은 거의 하지 않으므로 함께 거주하거나 가까운 곳에 집주인이 사는 곳이면 더 나을 거 같습니다.
'육아와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핑크퐁과 아기상어의 월드투어쇼 관람후기 (0) | 2022.01.24 |
---|---|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 (0) | 2022.01.23 |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 받는 방법 (0) | 2022.01.19 |
방을 구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것들 (0) | 2022.01.18 |
사계절 먹게 되는 블루베리 (0) | 2022.01.17 |